@AuthenticationPrincipal 어노테이션은 Spring Security에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를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Spring Security를 사용하여 인증 및 인가를 처리할 때, 인증된 사용자의 정보를 서비스 계층이나 컨트롤러에서 쉽게 가져오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이 어노테이션은 보통 Principal 객체를 주입하는 방식과 유사하지만, 더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1. @AuthenticationPrincipal이란?

@AuthenticationPrincipal은 Spring Security의 Authentication 객체에서 현재 인증된 사용자의 정보를 직접 가져올 수 있게 해주는 어노테이션입니다. Authentication 객체는 사용자가 로그인 시 저장된 인증 정보를 담고 있으며, 이를 통해 로그인한 사용자의 이름, 권한, 역할 등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2. 사용 예시

2.1. 기본적인 사용

@AuthenticationPrincipal을 사용하면 인증된 사용자 객체를 쉽게 주입받을 수 있습니다. 보통 사용자 정보를 담고 있는 클래스는 UserDetails 인터페이스를 구현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를 CustomUserDetails 클래스에 담고 있다면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ntroller
public class MyController {

    @GetMapping("/profile")
    public String getUserProfile(@AuthenticationPrincipal CustomUserDetails userDetails) {
        // 인증된 사용자 정보 사용
        System.out.println("Authenticated user: " + userDetails.getUsername());
        return "profile";
    }
}

2.2. UserDetailsService와 함께 사용

@AuthenticationPrincipal을 사용하려면 보통 UserDetailsService를 사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로드하는 방식과 함께 사용됩니다. CustomUserDetailsService 클래스를 구현하여 사용자 정보를 로드하고, Spring Security에서 제공하는 AuthenticationManager를 통해 인증을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Service
public class CustomUserDetailsService implements UserDetailsService {

    @Autowired
    private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Override
    public UserDetails loadUserByUsername(String username) throws UsernameNotFoundException {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Username(username)
            .orElseThrow(() -> new UsernameNotFoundException("User not found"));
        return new CustomUserDetails(user);
    }
}

3. 장점

  • 간결성: @AuthenticationPrincipal을 사용하면 Authentication 객체를 직접 다룰 필요 없이, 인증된 사용자 정보를 쉽게 주입받을 수 있습니다.
  • 유연성: UserDetails를 구현한 클래스에 따라 사용자 정보를 다르게 설정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보안 강화: 인증된 사용자 정보만을 주입받기 때문에 보안 측면에서도 유리합니다.

4. 주의할 점

  • @AuthenticationPrincipal은 주로 Principal 객체가 아닌 인증된 사용자의 상세 정보를 담고 있는 객체를 주입받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CustomUserDetails와 같은 클래스를 UserDetails 인터페이스로 구현해 사용해야 합니다.
  •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경로에서는 @AuthenticationPrincipal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적절한 예외 처리가 필요합니다.

5. 결론

Spring Security에서 @AuthenticationPrincipal 어노테이션은 인증된 사용자 정보를 쉽게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이를 사용하면 코드가 간결해지고, Authentication 객체를 직접 다루지 않고도 인증된 사용자의 상세 정보를 손쉽게 다룰 수 있습니다. 특히 사용자 인증 및 관리가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이 어노테이션을 활용하면 보다 깔끔하고 안전한 코드 작성이 가능합니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che  (0) 2025.03.05
Redis  (0) 2025.03.04
restdocs  (0) 2025.02.20
n+1을 해결하는 여러가지 방식의 장단점  (0) 2025.02.19
data.sql을 활용한 초기 데이터 설정  (0) 2025.02.14

1. Spring RestDocs란?

Spring RestDocs는 API 문서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도구로, 테스트 코드에서 API 요청과 응답을 기반으로 문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API 문서를 코드와 동기화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도와주며, Swagger와 같은 다른 문서화 도구보다 신뢰성이 높습니다.

2. Spring RestDocs의 장점

  • 테스트 기반 문서화: API 테스트 코드와 함께 동작하므로 실제 요청/응답을 기반으로 문서가 생성됩니다.
  • 정확한 문서 유지: 코드와 문서가 따로 관리되지 않기 때문에 변경 사항이 자동으로 반영됩니다.
  • Markdown 및 Asciidoc 지원: Asciidoc을 활용하여 다양한 포맷으로 문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Swagger 대비 장점: 코드와 문서가 분리되지 않으며, API 변경 사항을 놓칠 가능성이 적습니다.

3. Spring RestDocs와 다른 문서화 도구 비교

문서화 도구장점단점

Spring RestDocs 실제 API 응답을 기반으로 문서 자동 생성, 코드와 문서 동기화 보장 UI 기반 문서 제공 없음, 초기 설정이 다소 복잡
Swagger UI 기반 API 문서 제공, 인터랙티브한 API 테스트 가능 수동으로 작성해야 하며 코드와 문서가 불일치할 가능성 있음
Postman API 테스트와 문서화를 함께 수행 가능, 공유 기능이 뛰어남 코드와 문서가 동기화되지 않음, 버전 관리 어려움
Redoc Swagger 기반의 미려한 UI 제공, 문서 유지보수 용이 Swagger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Swagger의 단점과 동일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is  (0) 2025.03.04
Spring Security의 @AuthenticationPrincipal 이해하기  (0) 2025.02.25
n+1을 해결하는 여러가지 방식의 장단점  (0) 2025.02.19
data.sql을 활용한 초기 데이터 설정  (0) 2025.02.14
Github Project & Issue  (0) 2025.02.13

1. @Query와 leftjoin (JPQL)
엔티티들을 한번의 SQL쿼리로 조회
장점 : 간단함
단점 : JOIN FETCH 많이 사용하면 쿼리 복잡도 증가. 연관된 엔티티가 많으면 쿼리 실행 시간 증가.

2. EntityGraph
EntityGraph는 JPA에서 제공하는 기능,
특정 연관 관계를미리 로딩하도록 지정 가능
장점 : JPA표준기능이라 여러 쿼리에서 사용가능
재사용성 높음
단점 : 동적 쿼리나 매우 복잡한쿼리에는 부적함

3. @OneToMany 에서 FetchType.LAZY가 아닌 FetchType.EAGER
비추천
장점 : 간단함
단점 : 성능 저하

4. Batch Fetching
연관된 엔티티들을 한 번에 묶어서 가져오는 방식
장점 : 연관된 엔티티들을 한 번에 묶어서 조회할 수 있어 성능 최적화 가능
BatchSize를 통해 배치 크기 조절 가능
단점 : 메모리 사용량 증가

5. QueryDSL
동적 쿼리를 작성할때 JOIN을 사용해 연관된 엔티티들을 한 번에 가져오는 방식
장점 : 동적쿼리작성가능, 코드의 가독성이 높음. 실무에서 많이 사용함.
단점 : 어려움

6. 서브쿼리
장점 : 메인쿼리 단순하게 유지가능
단점 : 복잡한 sql

7. NativeQuery
SQL을 직접작성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직접 가져오기.
장점 : sql을 직접작성하므로 최적화 작업을 자유롭게 가능
JPA, JPQL보다 SQL에 대한 더 높은 제어권을 가짐
단점 : JPA와 통합 어려움
DB의존적임. DB에 종속적이므로 DB를 변경할 경우 쿼리를 수정해야함
clear, flush를 자주 사용해야하고 잘 사용해야함

8. EntityGraph와 JOIN FETCH의 결합
장점 : 동적 조정가능
단점 : 복잡한 쿼리, 메모리 사용량 증가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Security의 @AuthenticationPrincipal 이해하기  (0) 2025.02.25
restdocs  (0) 2025.02.20
data.sql을 활용한 초기 데이터 설정  (0) 2025.02.14
Github Project & Issue  (0) 2025.02.13
MSA는 필수적일까?  (0) 2025.02.11

data.sql 은 Spring Boot 를 실행할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SQL 파일이다. 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데이터베이스에 기본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테스트 데이터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이 파일은 src/main/resources 디렉토리에 위치한다.

 

data.sql 의 장점

 

 

  • 자동 데이터삽입 : data.sql을 활용하면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data.sql 이 자동으로 실행해 별도로 데이터를 삽입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 초기화가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개발 초기 상태를 쉽게 만들 수 있다.
  • 테스트 데이터 관리 : 개발 및 테스트 환경에서 반복적으로 사용할 데이터베이스 초기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실행마다 동일한 데이터를 쉽게 삽입하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 간편한 데이터 삽입 : SQL문을 직접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직관적이고 빠르다.

비슷한 테스트 데이터 삽입 방법으로 TestDataRunner가 있다. TestDataRunner 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구분 data.sql TestDataRunner
실행 시점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 자동 실행 테스트 실행 전, 후에 수동으로 실행
실행 방식 SQL 쿼리 직접 작성 Java 코드로 데이터 삽입
데이터베이스 독립성 데이터베이스에 의존적인 SQL 문 작성 Spring 환경에 맞춰 동적으로 데이터 삽입 가능

 

data.sql 을 사용하기위해서 application.properties 를 설정해 주어야 한다.

spring.datasource.initialization-mode=always

spring.datasource.initialization-mode: 데이터베이스 초기화 모드를 설정합니다. always로 설정하면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 data.sql을 실행하게 됩니다.

 

이는 스키마가 이미 존재할 때 사용해야 한다. 스키마 도 새로 설정해야한다면 스키마 설정과 데이터도 추가해 줘야한다. 나는 스키마는 있었으므로 데이터만 추가했었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Security의 @AuthenticationPrincipal 이해하기  (0) 2025.02.25
restdocs  (0) 2025.02.20
n+1을 해결하는 여러가지 방식의 장단점  (0) 2025.02.19
Github Project & Issue  (0) 2025.02.13
MSA는 필수적일까?  (0) 2025.02.11

개발 프로젝트를 관리하는것은 복잡하고 어려운 일이다. 이를 좀 더 쉽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위해 많은 프로젝트 관리 도구가 있다. 대표적인 예로 Jira, Github Project가 있다. 그 중에서 Github Project에 관해 작성해보겠다.

 

Github Project의 장점 : 

  • Github Project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코드 저장소와 프로젝트 관리 도구가 하나의 플랫폼에 통합되어 있다는 것이다. 코드를 저장하고 관리할때 Github를 통해 관리하니 한번에 관리할 수 있어 좋다. 이는 개발자들이 코드 작업과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어 작업 흐름이 매우 자연스럽다.

 

  • Github Project는 유연한 칸반 보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팀원들은 자신들의 워크 플로우에 맞게 칸반 보드를 구성해서 팀의 특정 요구사항에 맞는 사용자 정의 열을 추가할 수 있다.

위 사진처럼 Todo, In Progress, Done 보드 3개로 간단하게 구성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생성된 Issue를 Close하면 자동으로 Done 으로 이동하게된다.

 

또한, Issue를 생성할 때 템플릿을 설정해 좀더 가독성 좋고 간단하게 이슈를 생성하고 PR할 수있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Security의 @AuthenticationPrincipal 이해하기  (0) 2025.02.25
restdocs  (0) 2025.02.20
n+1을 해결하는 여러가지 방식의 장단점  (0) 2025.02.19
data.sql을 활용한 초기 데이터 설정  (0) 2025.02.14
MSA는 필수적일까?  (0) 2025.02.11

+ Recent posts